본문 바로가기
Linux

[Linux] CentOS8 Network 설정

by 토르아빠 2023. 6. 30.
반응형

기본적으로 Windows 든 Linux 든 OS가 올라가면 IP설정을 해야 한다.

 

Windows는 누구나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여, 잘 알지만 Linux OS는 IT종사자가 아닌 이상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 이다.

가장 기본적인 Network 설정 부터 알아보자!

 

ifconfig

Linux OS를 설치하고 터미널을 띄운 다음, ifconfig를 쳐보면 내 Network Adapter 및 설정을 볼 수 있다.

아무것도 설정한 게 없기에, ens33 어댑터에 Network Address는 비어져있다.

 

IP 설정 경로

Linux 8 버전(CentOS, RHEL, Rocky, 레드햇 계열) 까지는 Networkmanager를 사용해도 되지만 

저렇게 네트워크 파일 설정을 통해서도 변경이 가능하다. 9 버전부터는 nmtui(Networkmanger)를 이용하여 IP설정을 하게 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다. 

 

cd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 경로로 이동한 후 ls 명령어를 쳐보면 위에서 본 ens33 adapter에 설정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. 저 ifcfg-ens33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 vi 편집기로 저 파일을 연다.

 

vi ifcfg-ens33

 

 

파일을 열어보면 이런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.

우리가 변경해줘야 할 것은 BOOTPROTO, ONBOOT 및 IP, NETMASK, GATEWAY, DNS 정도이다.

우선 설명을 하자면

BOOTPROTO는 Network IP설정을 Static으로 고정이 될 건지, Dhcp로 동적으로 될건지, none으로 설정할 건지 정할 수 있다.

보통 IP 주소를 설정할 땐, 변경되면 안 되기에 static 혹은 none으로 설정을 한다.

그리고 IPv6는 한국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기에 저 항목들은 지워줘도 된다.

ONBOOT는 Linux OS를 재기동하였을 때 자동으로 불러올 거냐 안 불러올 거냐 설정이다. 이건 yes로 바꿔주는 게 좋다.

 

 

설정을 다 마치고 나면 저런 모습에 내용을 볼 수 있다.

ONBOOT 밑 쪽에 IPADDR, NETMASK, GATEWAY, DNS 등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하고 작성이 다 되면

wq!로 저장하고 나오면 된다.

 

 

저장 후 설정을 변경 했으니 Network를 재시작해주어야 한다.

아차, 8 버전부터는 NetworkManager를 재시작을 해주어야 한다고 한다.

 

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

 

 

그 이후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다시 ens33에 대한 정보를 보면,

내가 설정한 IP로 설정이 되어 있으며, ping 테스트를 통해 통신이 잘 되는 것도 확인이 가능하다.

 

참고로, ifconfig 명령어 말고도 ip a 명령어를 통해서도 정보를 볼 수 있다.

아마 미니멀로 설치가 되어있으면 ifconfig 명령어는 안 먹힐 것이며, ip a로 정보를 확인해야 할 수 있다.

 

반응형
LIST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Rocky9.2 Linux LVM 구성  (0) 2023.06.29